반응형
<출처 : OK저축은행>
사건 개요
- 대부업 철수 약속 파기
- 2023년 6월, OK금융그룹은 대부업에서 완전 철수하는 조건으로 계열사 **러시앤캐시(아프로파이낸셜대부)**의 자산·부채를 OK저축은행에 흡수·합병
-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이 대부업 자금조달 창구로 변질되는 것을 우려해 철수를 조건부로 승인
- 그러나 금감원 검사 결과, 그룹 내 2개 계열사가 2024년까지 대부업 영위
- 대주주 적격성 심사 자료·경영공시에서 해당 사실을 고의 누락
- 올해 초에야 해당 계열사 폐업, 현재는 대부업 완전 철수 상태
- 고객 자금 횡령 사건
- 직원 A씨: 2021년 3~10월, 장기 미연락 고객 6명의 예·적금을 임의 해지해 1억6900만원 횡령
- 다른 고객의 실명확인증 사본을 사용해 명의 계좌 개설 → 횡령금 거래용으로 이용
- 직원 B씨: 2014~2018년, 지인 5명의 통장·도장·비밀번호를 직접 관리하며 2억5300만원 횡령
- 직원 A씨: 2021년 3~10월, 장기 미연락 고객 6명의 예·적금을 임의 해지해 1억6900만원 횡령
- 제재 조치
- 금감원: 기관경고(중징계), 과태료 3억7200만원 부과
- 기관경고는 등록취소·영업정지 바로 아래 단계의 중징계
분석: 금융권의 ‘말 바꾸기’와 관리 부실
▪ 신뢰의 핵심은 ‘약속’
금융회사의 가장 큰 자산은 자본이 아니라 신뢰입니다. OK저축은행은 금융당국과 “대부업 철수”를 조건으로 합병 인가를 받았음에도, 실제로는 계열사를 통해 영업을 지속했습니다. 이는 ‘조건부 승인’의 근간을 무너뜨린 행위이며, 감독당국과 고객 모두를 기만한 셈입니다.
▪ 내부 통제의 실패
직원들의 장기간에 걸친 횡령 사건은 내부통제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했는지를 드러냅니다. 특히 고객 실명 사본 도용, 지인 통장 장기 보관 등은 기본적인 금융 보안 원칙이 전혀 지켜지지 않은 사례입니다.
▪ 반복되는 ‘철수 선언’의 무게
금융권에서는 사회적 압박이 커질 때마다 “철수”를 선언하지만, 뒤로는 계열사·위장 구조를 통해 사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종종 포착됩니다. 이는 제도적 허점을 악용한 전형적인 ‘말 바꾸기’ 전략입니다.
대안
- 조건부 승인 사후검증 강화
- 금융당국은 합병·철수 조건의 이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실사하고, 위반 시 즉시 제재
- 계열사·관계사까지 포함한 ‘실질 영업 여부’ 검증 필수
- 내부통제 시스템 전면 재정비
- 모든 거래 기록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 고객 명의 변경·계좌 개설 시 2중·3중 인증 절차 적용
- 임직원 범죄 무관용 원칙
- 횡령 등 중대한 금융범죄 발생 시 해당 직원은 업계 영구 퇴출
- 관리 소홀 임원·지점장에 대한 연대책임 부과
- 투명한 경영공시 의무 강화
- 계열사 영업현황, 대부업 여부 등을 분기별로 의무 공시
- 허위·누락 시 과태료 수준을 대폭 상향
마무리
OK저축은행 사건은 ‘약속 불이행’과 ‘내부 부실’이라는 두 가지 치명적 문제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금융회사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지만, 단 한 번의 말 바꾸기와 내부 비리로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제 금융당국과 업계 모두, 말이 아닌 행동으로 신뢰를 증명해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
'News > 논란의 중심 속 기업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부터 출근하지 마세요” – 빗썸, 60명 권고 사직 (19) | 2025.08.02 |
---|---|
“죽음이 일상인 현장”…포스코이앤씨의 네 번째 사망사고 (26) | 2025.08.01 |
“29억에 균열이라뇨?”-현대건설, 올림픽파크포레온 (17) | 2025.07.30 |
“믿고 먹었는데 충격”– 오리온 ‘참붕어빵’ 15억원어치 전량 회수 (20) | 2025.07.27 |
“정부가 움직이자, 돈도 움직였다”-롯데건설 하도급 대금 미지급 (17)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