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논란의 중심 속 기업들 이야기

"메가커피 갑질 논란"...가맹점 강매에 23억 과징금 부과

Thinktree 생각나무 2025. 10. 4. 05:50
반응형

 

메가커피 갑질, 강매 23억 과징금, 가맹점

<출처 : 메가커피>

사건 개요

가맹점 수 3천 개가 넘는 국내 저가 커피 1위 메가커피 본사가 가맹점주들에게 장비 구매를 강제하고 불합리한 수수료를 떠넘긴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가맹사업법 위반으로 시정명령과 함께 총 23억 원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이는 외식업종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입니다.

  • 장비 강매 : 제빙기·커피 그라인더를 본사를 통해서만 구매 강제
  • 폭리 구조 : 시중가보다 26~60% 비싼 가격에 공급
  • 상품권 수수료 전가 : 발행액의 11% 전액을 점주에 부담
  • 리베이트 수취 : 본사는 발행업체로부터 1.1% 리베이트 챙김

왜 문제가 되는가

가맹점주의 선택권 박탈
– 통일성 유지라는 명분으로 장비를 본사에서만 구매하게 만든 것은 사실상 폭리 구조를 제도화한 것과 다름없습니다.

정보 비대칭
– 창업자가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정보공개서에 상품권 수수료, 쿠폰 비용 등이 누락되어 있어 점주들은 불리한 계약을 인지하지 못한 채 가맹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익 독식
– 점주는 대출까지 받아 장비·수수료 부담을 떠안는 반면, 본사는 마진과 리베이트를 챙기는 구조가 고착화됐습니다.


본질을 묻는다

프랜차이즈 산업의 핵심은 상생입니다. 본사는 브랜드와 시스템으로 수익을 얻고, 점주는 노력과 투자로 운영 성과를 가져가야 합니다.그러나 메가커피 사례에서 드러난 것은 ‘본사 이익 극대화, 점주 부담 전가’라는 왜곡된 구조입니다. 이는 단순한 갑질을 넘어, 프랜차이즈 산업 전체의 신뢰를 흔드는 문제입니다.


필요한 개혁 과제

  1. 성과급 지급 기준 강화
    – 가맹본부의 장비 지정·수수료 부과는 반드시 공정위 사전 심사를 거치도록 제도화.
  2. 투명한 정보 공개
    – 가맹계약 전 정보공개서에 모든 비용 구조를 의무적으로 기재.
  3. 점주 이의제기권 보장
    – 불공정 조건 발견 시 점주가 계약해지·수정 요구를 할 수 있는 권리 보장.
  4. 리베이트 구조 근절
    – 발행업체와 본사 간 리베이트 수취를 금지해 ‘점주 돈 빼돌리기’ 구조 차단.

맺음말

메가커피 사태는 단일 브랜드의 문제가 아닙니다. 저가 커피 열풍의 이면에는 점주의 눈물과 본사의 탐욕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가 일회성 제재로 끝나선 안 됩니다. 프랜차이즈 산업이 진정한 상생 모델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불공정 관행을 뿌리 뽑는 제도 개혁이 반드시 뒤따라야 합니다.

값싼 커피 한 잔 뒤에 누가 대가를 치르고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제2·제3의 ‘메가커피 사태’는 계속 반복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