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정부가 국정 과제인 실노동시간 단축을 본격화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주 4.5일제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정년 연장과 연계한 조속한 시행을 촉구하는 반면, 재계는 “생산성 없는 근로시간 단축은 기업 경쟁력만 해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노동계의 요구: 삶의 질 vs. 정년 보장
한국노총은 “정년 65세 연장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다”며, 주 4.5일제를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금융노조는 임금 인상과 함께 주 4.5일제를 내걸고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현대차 역시 협상 과정에서 주 4.5일제가 의제로 오르내렸습니다.
노동계 입장은 단순히 휴일 확대가 아니라, ‘정년 연장+노동시간 단축’이라는 이중 안전판을 확보하려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재계의 반발: 생산성은 누가 책임지나
한국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54.6달러, OECD 평균(70.6달러)의 77.4% 수준에 불과합니다. G7 국가 평균과 비교하면 더 뒤처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시간만 줄이면 기업은 인건비 상승, 인력난, 국제 경쟁력 약화를 떠안게 됩니다. 특히 소상공인들은 “금요일 오후가 손님 피크인데, 연장수당 부담이 늘면 결국 골목상권이 무너진다”고 우려합니다.
제도 설계의 모순
정부는 “주 4.5일제를 강제하지 않는다”며 재계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려 하지만, 실상은 정책 방향 자체가 근로시간 단축 일변도입니다. 주 52시간제 유연화를 요구하는 경제계 목소리와 정면으로 충돌합니다. 더구나 소상공인 단체는 “주휴수당 폐지 없는 주 4.5일제는 불가능하다”고 못 박고 있어 제도 시행 시 갈등은 불가피합니다.
한국 사회가 마주한 과제
- 생산성 향상 없는 단축은 위험하다
단순 근로시간 축소는 고용 증가·삶의 질 개선을 담보하지 못한다. - 산업별·기업별 특성 고려 필요
제조업·서비스업·소상공인 업종별 차이를 무시한 일률적 제도는 부작용만 키운다. - 정년 연장과의 연계 논리 검증 필요
청년 고용 기회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 정책 실험과 점진적 도입
전면 도입보다는 일부 시범사업 → 단계별 확산이 바람직하다.
맺음말
주 4.5일제는 단순히 ‘근무일 하루 줄이기’가 아닙니다. 한국 노동시장의 체질 개선, 생산성 혁신, 세대 간 고용 균형이 맞물린 복합 과제입니다. 삶의 질 향상과 경쟁력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면, 이 제도는 또 하나의 ‘정치적 구호’로만 끝날 수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노사정 모두가 현실을 직시한 사회적 대타협입니다.
'News > 세상을 움직이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건전지 뒤지는 수원시 행복복지센터 공무원"...이것이 과연 ‘환경 행정’인가? (25) | 2025.09.23 |
---|---|
"신용 사면"...95만명 재연체, 포퓰리즘 정책의 극치인가? (27) | 2025.09.19 |
“법 위에 스타 없다”…옥주현, 미등록 소속사 운영 (28) | 2025.09.16 |
"성수역 계단 신설 무산"…예산부족으로 시민 안전 포기한 서울교통공사 (29) | 2025.09.15 |
"성수1구역, 재개발인가 비리인가"…시민 분노만 키우는 조합 카르텔 (34)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