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서울의 한 초·중등 학교에서 학부모가 자녀 전용 맞춤형 시험 문제를 직접 만들어 시험에 넣어달라고 요구한 사례가 공개돼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학부모는 문제와 예상 답안까지 준비해 교사에게 전달하며 “아이의 자신감 회복을 위해 꼭 넣어 달라”고 요청
- 교사가 거절하자 “사람인데 융통성 있게 해 달라”는 말까지 덧붙임
- 교사는 “이건 협박이며 평가권 침해”라며 교권 추락을 호소
이 사건은 교육부가 발간한 ‘학부모 교권침해 민원 사례집’에 포함되면서 알려졌습니다.
사회적 분석
▪ 교권 붕괴의 단면
시험 문제 출제는 교사의 고유 권한입니다. 이는 학습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자, 학생 간 형평성을 보장하는 핵심 절차입니다. 그러나 이번 사례처럼 학부모의 사적 이해관계가 평가 과정에 개입한다면, 교육의 본질인 ‘공정성’은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 ‘내 아이 우선주의’의 위험
학부모의 지나친 자녀 보호 심리는 ‘교육권 침해’로 쉽게 변질됩니다. 아이의 자신감 회복이라는 명분 뒤에는, 공정성을 훼손해도 된다는 자기합리화가 숨어 있습니다. 이는 다른 학생들의 노력과 성취를 무의미하게 만들고, 공동체의 신뢰를 붕괴시키는 위험한 사고입니다.
▪ 교사의 심리적 소진
교사는 이번 사례처럼 부당한 요구를 받더라도, 학부모와의 관계, 학교 내 평가, 교육청 보고 등을 고려해 강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처지입니다. 이 과정에서 심리적 압박과 권위 상실이 누적되며 교직 이탈을 고민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대중 반응
SNS와 커뮤니티에는 “수능 출제위원에게도 찾아가서 문제 내라고 하겠다”, “학교 대신 홈스쿨링을 해라”, “다른 학생들은 무슨 죄냐” 등 분노와 조롱 섞인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대다수의 여론은 해당 학부모의 요구가 부정행위에 해당한다는 인식입니다.
마무리
- 교권 보호 장치 강화
- 교사 고유 업무권(평가권·수업권)에 대한 법적 침해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마련
- 교육청 차원의 ‘교권침해 즉시 보고·중재 시스템’ 운영
-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확대
- 정기적인 학부모 대상 ‘학교 교육 이해’ 프로그램 마련
- 자녀 성장 과정에서의 건강한 기대와 한계에 대한 인식 교육 강화
- 평가의 투명성 확보
- 시험 문제 출제·관리 절차를 학기 초부터 공개해 불필요한 개입 차단
- 모든 시험 자료를 일정 기간 공개·보관해 공정성 담보
아이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방법은 시험 문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공정한 평가 속에서 노력과 성취를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교육 현장이 ‘특혜 요구의 전시장’이 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모든 학생과 사회가 떠안게 될 것입니다.
'News > 세상을 움직이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너진 꿈의 무대 ” ‑ 중소 기획사의 현실 (38) | 2025.08.09 |
---|---|
"우리 애 지옥 가면 책임질 거냐"…학교 급식 민원의 황당한 현실 (62) | 2025.08.08 |
“주 4.5일제의 공약” - 건설현장에 닥친 노동 리스크 (59) | 2025.08.06 |
“호주에서 유명하다더니”… 바다의 ‘미라클 시드니’ 허위 광고 (64) | 2025.08.06 |
“유산한 교사의 담임 교체 요구”-학부모의 도를 넘는 행동 (49)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