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건 개요
국세청은 2024년 한 해 동안 억대 수익 유튜버 21명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해, 총 89억 원의 세금을 추징했습니다.
이는 한 명당 평균 약 4억2천만 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2019~2023년에는 총 67명이 조사 대상이었고, 부과세액은 236억 원에 이릅니다.
급증하는 대상자, 증가하는 의문
- 2019~2022년: 연평균 약 5명 조사, 세액은 총 56억 원
- 2023년: 무려 24명, 세액 91억 원
- 2024년: 21명, 89억 원 추징
국세청은 “유튜버 수입 중 탈루 의심 소득에 대해 엄정 대응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후원금 등 개별 수익에 대한 세부 관리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왔습니다.
왜 문제인가?
- 과세 사각지대의 현실화
슈퍼챗, 후원 같은 후원금 등이 수익원으로 등장했지만 제대로 신고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과세 체계가 빠르게 변하는 플랫폼 환경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엑셀방송과 사이버 레커의 과열
후원 경쟁을 유도하는 ‘엑셀 방송’이나 선정적 보도로 수익을 창출하는 ‘사이버 레커’ 채널 등이 높은 수익을 올리지만 세금 회피 구조가 만연합니다. - 제도 사각지대로 인한 역차별
전통 사업자는 철저히 신고와 납세 의무를 수행하는 반면, 1인 창작자들은 탈루 여지가 노출되면서 공정성 논란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파장
- 자영업자와 일반 기업이 역차별을 느낄 수 있음
- 플랫폼 산업의 신뢰도 하락, 창작자 전체 이미지 타격 우려
- 국민납세 의식 저하로 국가 재정 건전성에 위협
디지털 시대의 과세 개혁의 요구
- 후원금 등 비정형 수익의 과세 기준 명문화
슈퍼챗·구독·후원금 등 플랫폼 수익에 대한 세부 가이드라인 필요 - 사업자 등록 및 세무 신고 자동화 시스템 도입
국세청은 플랫폼 사업자와 연계한 신고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 - 과세 투명성을 위한 플랫폼 협의체 구성
유튜브·트위치 등과 국세청이 함께 과세 교육과 신고 지원 체계 구축 필요 - 탈세 혐의에 대한 사회적 처벌 강화
억대 수익자 미신고 시 벌금뿐 아니라 형사처벌까지 강화해야 탈루 유인이 줄어듦
마무리 : 세금은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
유튜버의 억대 수익 시대, 국민은 “왜 그들은 세금을 피할 수 있나?”라고 묻고 있습니다.
플랫폼 위주의 디지털 수익 시대에 적절한 과세 시스템 정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입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으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국민과 창작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과세 제도를 향해 함께 걸어갑시다.
반응형
'News > 세상을 움직이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적 의대생만 국민인가요?”…특별복귀 결정에 대학가 ‘분노의 연대’ (10) | 2025.07.21 |
---|---|
“신지-문원,결혼 앞두고 과거 폭로 당했다”…인터넷은 축복일까, 저주일까? (8) | 2025.07.19 |
"엄마가 만들어 준 전교 1등" - 안동 고교 시험지 유출 사건 (4) | 2025.07.17 |
“빌보드를 삼킨 케이팝 데몬 헌터스”…세계는 지금 한국 문화에 중독됐다. (6) | 2025.07.16 |
"보좌관 도살장" 논란… 강선우 의원실, 단순한 숫자 싸움인가? (3)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