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일, 전국 공항 자회사 무기한 파업 "...누가 대가를 부담해야 하는가?
사건 개요
10월 1일 오전 6시부터 전국 공항 자회사 노동자들이 무기한 파업에 돌입합니다. 파업 참여 인원은 약 2800명으로, 인천·김포를 포함한 전국 15개 공항의 보안·시설관리·소방·운영·청소 등 필수 운영 인력이 대거 빠지게 됩니다.
추석 연휴 기간과 맞물려, 공항 이용객은 심각한 불편을 겪을 전망입니다.
파업의 이유
노조는 크게 두 가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교대 근무제 개선
– 수년 전 약속했던 ‘죽음의 연속 야간노동’ 개선책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주장. - 임금 인상 및 공정 계약
– 저임금 구조 강요, 인력 부족 상태에서 운영을 이어가는 불공정 계약 구조가 문제.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단순한 임금 문제가 아니라, 안전과 노동 환경의 문제라는 점에서 무겁습니다.
공항 운영의 모순
공항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국민 안전과 직결된 시설입니다. 그러나 그 운영의 핵심을 담당하는 인력이 자회사·하청 구조 속에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감내하고 있다는 사실은 충격적입니다.
- ‘국제 허브공항’이라는 간판 뒤에 숨은 불안정 고용
- 항공 보안과 안전을 책임지는 인력조차 정규직이 아닌 자회사 소속 비정규 구조
이런 구조는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지만 개선은 더뎠습니다.
정부와 공사의 책임
이번 파업은 단순히 노사 갈등이 아니라, 정부와 공기업의 구조적 무책임이 낳은 결과입니다.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낙찰률’과 ‘원가 절감’을 우선시하며 자회사 노동자들의 희생을 전제로 계약을 이어왔습니다.
- 안전 인력을 필수유지업무로 묶어 파업권을 제약하면서도, 근로조건 개선 약속은 지키지 않은 것입니다.
국민 불편, 누구의 책임인가
추석 대이동 시기에 터진 이번 파업은 국민에게 불편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 불편을 노조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가리는 것입니다.
공항을 이용하는 국민은 값싼 노동과 불공정 계약 구조 위에서 만들어진 서비스를 받아왔습니다. 결국 이번 사태는 그 숨겨진 비용을 사회 전체가 떠안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대안
- 자회사 구조 개선: 공항 운영 핵심 인력은 ‘비정규·하청’이 아니라 정규적 고용 틀 안에서 보장해야 함.
- 교대제 현실화: 연속 야간 노동 근절은 단순한 복지 차원이 아니라 안전 확보의 문제.
- 공기업 책임 강화: 원청(공항공사)이 ‘최저가 낙찰’ 논리에서 벗어나, 운영 인력의 안전과 처우를 반영한 계약 구조 마련.
- 국민 소통 강화: 불편을 최소화하려면 정부·공항공사·노조가 즉각적인 협상 테이블을 열어야 함.
맺음말
이번 파업은 단순한 임금 투쟁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공항 시스템이 얼마나 연약한 구조 위에 세워져 있는지 드러낸 사건입니다. 추석 연휴의 불편이 끝난다고 해서 문제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공항을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서라도, ‘값싼 노동’에 기댄 운영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