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논란의 중심 속 기업들 이야기

“대부업 철수?”-약속깬 OK저축은행, 고객자금 횡령까지...

Thinktree 생각나무 2025. 8. 12. 06:24
반응형

ok저축은행, 대부업 철수

 

<출처 : OK저축은행>

사건 개요

  1. 대부업 철수 약속 파기
    • 2023년 6월, OK금융그룹은 대부업에서 완전 철수하는 조건으로 계열사 **러시앤캐시(아프로파이낸셜대부)**의 자산·부채를 OK저축은행에 흡수·합병
    •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이 대부업 자금조달 창구로 변질되는 것을 우려해 철수를 조건부로 승인
    • 그러나 금감원 검사 결과, 그룹 내 2개 계열사가 2024년까지 대부업 영위
    • 대주주 적격성 심사 자료·경영공시에서 해당 사실을 고의 누락
    • 올해 초에야 해당 계열사 폐업, 현재는 대부업 완전 철수 상태
  2. 고객 자금 횡령 사건
    • 직원 A씨: 2021년 3~10월, 장기 미연락 고객 6명의 예·적금을 임의 해지해 1억6900만원 횡령
      • 다른 고객의 실명확인증 사본을 사용해 명의 계좌 개설 → 횡령금 거래용으로 이용
    • 직원 B씨: 2014~2018년, 지인 5명의 통장·도장·비밀번호를 직접 관리하며 2억5300만원 횡령
  3. 제재 조
    • 금감원: 기관경고(중징계), 과태료 3억7200만원 부과
    • 기관경고는 등록취소·영업정지 바로 아래 단계의 중징계

분석: 금융권의 ‘말 바꾸기’와 관리 부실

신뢰의 핵심은 ‘약속

금융회사의 가장 큰 자산은 자본이 아니라 신뢰입니다. OK저축은행은 금융당국과 “대부업 철수”를 조건으로 합병 인가를 받았음에도, 실제로는 계열사를 통해 영업을 지속했습니다. 이는 ‘조건부 승인’의 근간을 무너뜨린 행위이며, 감독당국과 고객 모두를 기만한 셈입니다.

내부 통제의 실패

직원들의 장기간에 걸친 횡령 사건은 내부통제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했는지를 드러냅니다. 특히 고객 실명 사본 도용, 지인 통장 장기 보관 등은 기본적인 금융 보안 원칙이 전혀 지켜지지 않은 사례입니다.

반복되는 ‘철수 선언’의 무게

금융권에서는 사회적 압박이 커질 때마다 “철수”를 선언하지만, 뒤로는 계열사·위장 구조를 통해 사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종종 포착됩니다. 이는 제도적 허점을 악용한 전형적인 ‘말 바꾸기’ 전략입니다.


대안

  1. 조건부 승인 사후검증 강화
    • 금융당국은 합병·철수 조건의 이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실사하고, 위반 시 즉시 제재
    • 계열사·관계사까지 포함한 ‘실질 영업 여부’ 검증 필수
  2. 내부통제 시스템 전면 재정비
    • 모든 거래 기록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 고객 명의 변경·계좌 개설 시 2중·3중 인증 절차 적용
  3. 임직원 범죄 무관용 원칙
    • 횡령 등 중대한 금융범죄 발생 시 해당 직원은 업계 영구 퇴출
    • 관리 소홀 임원·지점장에 대한 연대책임 부과
  4. 투명한 경영공시 의무 강화
    • 계열사 영업현황, 대부업 여부 등을 분기별로 의무 공시
    • 허위·누락 시 과태료 수준을 대폭 상향

마무리

OK저축은행 사건은 ‘약속 불이행’과 ‘내부 부실’이라는 두 가지 치명적 문제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금융회사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지만, 단 한 번의 말 바꾸기와 내부 비리로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제 금융당국과 업계 모두, 말이 아닌 행동으로 신뢰를 증명해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